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BO 올스타전 예매 일정 팬사인회 이벤트 워터페스티벌

by 치즈뉴스 2025. 7. 1.
반응형

⚾ 예매 일정과 방법

반응형

 

2025 신한 SOL뱅크 KBO 올스타전 입장권 예매가 6월 30일(일) 오후 2시부터 시작됩니다.
예매는 인터파크 NOL 티켓 웹사이트와 앱, 고객센터(1544-1555)에서 가능합니다.
6월 30일 14시~자정까지는 올스타 프라이데이(7월 11일) 선예매(5,000매)가 진행됩니다.
7월 1일 14시~자정까지는 프라이데이 입장권 2매 이상 구매자에 한해 본 경기(7월 12일) 선예매가 가능합니다.
일반 예매는 7월 2일 14시부터 시작되며, 프라이데이와 올스타전 모두 예매할 수 있습니다.

🏟️ 좌석 정보 및 현장판매 안내

올스타 프라이데이와 올스타전 당일에는 디지털 취약 계층을 위한 현장 판매도 진행됩니다.
만 65세 이상, 장애인(등록증/복지카드 소지자)은 1인 1매 현장 구매가 가능합니다.
좌석은 내야지정석A, 내야지정석B, 외야지정석에 한정되며, 매표소 3번 창구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워터존 좌석 예매자는 선착순으로 우비가 무료 제공됩니다.
좌석별 가격과 상세 위치는 예매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 올스타 프라이데이와 홈런더비

7월 11일(금) 올스타 프라이데이에는 오후 6시부터 퓨처스 올스타전이 열립니다.
남부리그와 북부리그 유망주들이 맞붙는 경기로, 베스트 퍼포먼스상 시상도 있습니다.
경기 후에는 팬 투표로 선정된 거포들이 참가하는 ‘컴투스프로야구 홈런더비’가 펼쳐집니다.
홈런더비는 올해부터 시간제 방식이 도입되어, 2분 동안 제한 없이 타격할 수 있습니다.
예선과 결승 모두 30초 타임이 1회씩 주어지며, ‘컴프야존’ 최다 홈런상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 워터페스티벌·팬사인회·이벤트

워터페스티벌은 경기 중 주요 상황마다 1루, 3루 응원단상에서 워터캐논이 물줄기를 쏘아올립니다.
양일 모두 진행되며, 워터존 좌석 예매자에게 우비가 제공됩니다.
6월 30일~7월 2일 예매자 중 추첨을 통해 120명에게 올스타 팬사인회 참여권(1인 2매)이 증정됩니다.
당첨자는 7월 9일 오후 6시 KBO 홈페이지와 문자로 발표됩니다.
팬사인회 참여권은 예매 취소 시 자동 취소됩니다.
팬 페스트존에서는 스폰서존, 야구체험존, 포토존 등 다양한 체험이 가능합니다.

🥳 올스타전 본 경기와 특별 프로그램

7월 12일(토) 올스타전 당일에는 KBO 올스타 팬사인회, 신한 SOL뱅크 썸머레이스, 블랙이글스 에어쇼, 공군 군악대 애국가 연주 등 다양한 행사가 펼쳐집니다.
드림 올스타와 나눔 올스타의 본격적인 맞대결은 오후 6시 시작됩니다.
경기 중에는 CGV 클리닝타임쇼, 특별 공연 등 풍성한 볼거리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선수들의 재치있는 퍼포먼스, 마스코트와 팬들이 함께하는 이벤트도 기대해볼 만합니다.

📺 중계 및 현장 체험존 안내

2025 KBO 올스타전은 SPOTV, SPOTV2, KBSN스포츠, MBC스포츠플러스, SBS스포츠, TVING에서 생중계됩니다.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외부 광장과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그라운드에는 팬 페스트존이 운영됩니다.
스폰서존, 야구체험존, 포토존 등 다양한 현장 이벤트와 체험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대전의 명물과 KBO 올스타전의 다이내믹함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야구 축제의 장입니다.

 

 

카카오톡 원스토어 서비스 종료, 안전하게 대처하는 4단계

목차1. 서비스 종료 일정 및 배경2. 이용자 영향 및 주의사항3. 안전한 대화 백업 및 재설치 방법4. 톡서랍 이용권 지원 및 활용법5. 자주 묻는 질문서비스 종료 일정 및 배경카카오톡 원스토어 앱

apple.fingerplay.co.kr

 

 

성실상환자 채무조정, 이자지원과 분할상환 총정리 (2025 추경)

정부가 2025년 추경을 통해 성실상환자도 채무조정과 이자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정책자금, 은행권 지원, 조건과 절차를 한눈에 정리합니다.목차2025 추경안 주요 내용 요약성실상

apple.fingerplay.co.kr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재산 기준 완벽 총정리!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기준이 더 세분화되고 지원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소득·재산 기준, 부양의무자 조건, 예외 및 특례 적용 등 복잡한 기준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수급자 선정은 단

apple.fingerplay.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