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토지보상 일정과 주택공급 속도, 인센티브까지 완벽 정리
🏠 3기 신도시 추진 배경&현황
수도권 집값 안정과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정부와 LH는 3기 신도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입주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재무구조 개선, 보상 절차 재설계 등 다양한 대책도 병행되고 있죠.
주민 반대, 교통 대책 지연 등 예상치 못한 일들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주요 신도시 공급 계획·일정
2025년 기준, 3기 신도시는 총 18만5,600가구 공급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주요 신도시별 예정 가구와 청약 일정을 확인해보세요.
신도시명 | 공급계획(가구) | 본청약 일정 | 현황 |
---|---|---|---|
남양주왕숙 | 74,900 | 2025년/진행중 | 본청약 본격화 |
하남교산 | 36,700 | 2025년/진행중 | 본청약 본격화 |
인천계양 | 17,000 | 2023년/진행중 | 착공·공급 진행 |
고양창릉 | 38,000 | 2025년/진행중 | 진행 중(보상률↑) |
부천대장 | 19,000 | 2025년/진행중 | 보상 완료 |
광명·시흥 | 67,000 | 2029년 예정 | 보상 지연 |
의왕군포안산 | 41,000 | 일정 미정 | 계획 미확정 |
화성진안 | 29,000 | 일정 미정 | 보상·지정 불확실 |
⏳ 토지보상/지연 이슈
현재 남양주왕숙, 하남교산, 부천대장, 인천계양 등 중심지역은 토지보상 완료율 98~100%에 근접.
광명·시흥, 의왕군포안산 등 후발지역은 보상 지연과 주민 반발, 소송 등으로 일정 차질이 큽니다.
특히 2029년 분양 예정인 광명시흥은 보상계획안 발표가 9월로 미뤄졌습니다.
사업 속도는 토지보상과 주민 협의가 관건입니다.
💸 재무구조·민간 참여 인센티브
토지 수용비 및 공사비 급등으로 LH 적자가 커지면서, 재무 구조 개편이 필수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신규 주택 공급 여력 확보와 보상 지연 극복을 위해 민간참여 확대도 꾀하고 있죠.
최근에는 건설사 금융비용 부담을 줄여주고자 전용 금융상품 개발도 정책에 포함됐습니다.
1800여 기업과 군부대·공장 이전을 위한 인센티브도 추가 논의 중입니다.
🚄 교통 대책·GTX 연계
3기 신도시 성공적 입주를 위해서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등 교통 인프라가 핵심입니다.
현재 부분 개통된 구간도 있지만, 전 구간 완공은 2028~2030년 목표로 전진 중입니다.
교통사업 지연은 주택공급 전체 일정에 영향, 정부도 GTX 공정관리 강화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 한눈에 보는 3기 신도시
- 남양주왕숙 등은 본청약 및 공급 시작
- 광명·시흥 등 후발지구는 보상과 일정 지연
- 재무구조 개선·민간참여 등 다양한 속도전
- GTX 연계 등 교통 인프라도 성공의 관건
- 전체 3기 신도시, 2025~2029년 단계별 입주 추진
카카오톡 원스토어 서비스 종료, 안전하게 대처하는 4단계
목차1. 서비스 종료 일정 및 배경2. 이용자 영향 및 주의사항3. 안전한 대화 백업 및 재설치 방법4. 톡서랍 이용권 지원 및 활용법5. 자주 묻는 질문서비스 종료 일정 및 배경카카오톡 원스토어 앱
apple.fingerplay.co.kr
성실상환자 채무조정, 이자지원과 분할상환 총정리 (2025 추경)
정부가 2025년 추경을 통해 성실상환자도 채무조정과 이자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정책자금, 은행권 지원, 조건과 절차를 한눈에 정리합니다.목차2025 추경안 주요 내용 요약성실상
apple.fingerplay.co.kr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재산 기준 완벽 총정리!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기준이 더 세분화되고 지원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소득·재산 기준, 부양의무자 조건, 예외 및 특례 적용 등 복잡한 기준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수급자 선정은 단
apple.fingerplay.co.kr